🌱 케이키란?
‘케이키(Keiki)’는 하와이어로 ‘아기’, ‘분신’을 의미합니다.
식물학적으로는 부모 식물에서 무성적으로 자라나는 새로운 개체를 뜻하며,
호접란(Phalaenopsis)에서는 주로 꽃대의 절 마디 부분에서 발생합니다.
이 작은 생명체는
처음엔 꽃이 피던 자리에 있던 '눈'에서 시작하여,
잎이 자라고 뿌리가 내려오며 완전한 독립체가 됩니다.
🌸 왜 ‘케이키’를 시도하는가?
호접란은 씨앗 번식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상업적 재배에서는 무균배양을 통해 이루어지기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새로운 개체를 얻기 매우 어렵습니다.
이런 이유로,
‘케이키 유도’는 가정 환경에서 희귀 품종을 유지하거나 복제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됩니다.
케이키를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 확보
- 💡 한 번 꽃 핀 후의 꽃대를 재활용 가능
- 💡 시간은 오래 걸려도 실험의 재미와 성취감이 큼
🔍 케이키는 어떻게 생기는가?
조건내용
✅ 꽃대 절 마디 | 대부분 꽃이 피던 자리(절)의 아래쪽 눈에서 발생 |
✅ 온도/습도 |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유도 확률 증가 |
✅ 광량/시간 | 하루 10~12시간의 광합성 보조 조명 효과 |
✅ 외부 자극 | 호르몬(예: BAP), 절개, 수분·온도 스트레스 등 |
🧪 케이키 유도 방법 개요
- 자연 유도법
- 조건: 건강한 꽃대 + 고온다습 환경 유지
- 성공률: 낮음 (5~15%)
- 특징: 가장 안전하지만 성공은 운에 가까움
- 호르몬 유도법 (BAP, KeikiGrow Plus 등)
- 절 마디에 호르몬 도포 → 세포분열 촉진
- 성공률: 중
고 (3070%) - 주의: 너무 과하면 괴사 유발 가능
- 혼합 실험 기법
- 절개, 계피 살균, 자연 추출물(B1, 알로에 등) 활용
- 실험적이지만, 각 조건 조합에 따라 가능성 높아짐
✍️ 앞으로의 실험 목표
이 블로그 카테고리에서는
📌 실제 케이키 유도 실험을 수행하고,
📌 관찰 결과를 단계별로 기록해가며,
📌 성공률이 가장 높은 방법을 찾아가는 여정을 공유하려 합니다.
- 같은 조건에서 어떤 요소가 영향을 주는가?
- 조명, 수분, 온도, 영양제... 무엇이 관건인가?
- 성공한 케이키는 언제 분리하는 것이 좋은가?
이 모든 과정을
‘호접란 케이키 실험기’라는 카테고리로 남기며,
다른 식물 애호가분들과 함께 생각하고, 비교하고, 성장해보고자 합니다.